연봉이 같아도 실제로 통장에 찍히는 금액은 사람마다 다릅니다. 4대보험, 소득세, 지방소득세 등 각종 세금이 차감되기 때문이죠.

이 글에서는 실수령액 계산 방법부터 자동 계산기 사용법, 그리고 연봉별 실수령액표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.
실수령액 계산에 포함되는 항목
- 국민연금 (연봉의 약 4.5%)
- 건강보험료 (연봉의 약 3.5%) + 장기요양보험료
- 고용보험료 (연봉의 약 0.9%)
-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(연봉 구간별 누진 과세)
보통 연봉의 약 10~15% 정도가 공제된다고 보면 되고, 세금 항목별 공제 비율은 연봉 구간에 따라 달라집니다.
연봉 실수령액표 (2025년 기준)
연봉 | 월 실수령액 (예상) | 연간 공제액 (예상) |
---|---|---|
2,400만 원 | 약 1,820,000원 | 약 1,040,000원 |
3,000만 원 | 약 2,250,000원 | 약 1,800,000원 |
4,000만 원 | 약 2,970,000원 | 약 2,640,000원 |
5,000만 원 | 약 3,650,000원 | 약 3,800,000원 |
6,000만 원 | 약 4,330,000원 | 약 5,040,000원 |
실수령액 계산 시 유의사항
- 세전 연봉 기준으로 계산하므로, 상여금·성과급은 별도 고려
- 비과세 항목 (식대, 차량유지비 등)은 실수령액에 포함되지 않음
- 연말정산 환급 여부에 따라 실제 연간 수령액 달라짐
- 지역가입자의 경우 건강보험료 부담이 더 클 수 있음
요약 정리
- 연봉의 약 10~15%는 4대보험·세금으로 공제
- 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소득세가 차감 항목
- 공식 계산기를 활용해 정확한 실수령액 확인 가능
- 연봉 외 비과세 항목, 수당 등을 따로 계산해야 정확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세사기 예방 체크리스트|등기부등본 제대로 보는 법 총정리 (0) | 2025.06.10 |
---|---|
신차 견적 비교 사이트 TOP3|할인 사은품 비교 전략 완벽 가이드 (0) | 2025.06.10 |
은행별 신용카드 현금이용 한도·이자율 완전 정리 (국민·신한·삼성·카카오뱅크·케이뱅크·하나·우리·기업 ) (0) | 2025.06.07 |
신용카드로 ATM 현금 인출하는 법|주의사항 및 이자 폭탄 피하기 (0) | 2025.06.07 |
비상금 필요할 때 신용카드로 똑똑하게 현금 인출하는 방법 (0) | 2025.06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