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상공인 수수료 부담은 줄이고, 소비자에겐 혜택을 제공하는 ‘제로페이’. 아직도 안 써봤다면 이번 기회에 정확히 알고 활용해보세요. 사용 가능한 장소부터 결제 방법, 혜택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.
1. 제로페이란? 개념부터 간단하게
제로페이는 중간 결제 수수료 없이 QR코드를 통해 계좌에서 바로 이체하는 모바일 간편결제 시스템입니다. 정부와 지자체, 민간이 함께 운영하여 소상공인과 소비자 모두에게 이득이 되는 구조로 설계되었습니다.
📱 제로페이 특징 요약
- 가맹점은 수수료 0%~0.3% 수준으로 부담 낮음
- 소비자는 연말정산 소득공제 30% 적용
- QR코드 스캔으로 실시간 계좌이체 결제
🔗 관련 공식 링크
- 제로페이 통합 포털
- 제로페이 가맹점 신청
- 제로페이 앱 (Google Play)
2. 제로페이 어디서 어떻게 쓰는지?
제로페이는 음식점, 카페, 전통시장, 공공기관, 편의점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아래는 대표적인 사용 가능처입니다.
🏪 사용 가능한 곳
- 전국 전통시장, 제로페이 스티커가 부착된 소상공 매장
- CU·GS25·세븐일레븐 등 편의점
- 관공서, 공공기관 내 매점/식당 등
-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
📲 결제 방법
- 제로페이 연동 은행앱 실행 (KB·신한·하나 등)
- ‘제로페이 결제’ 메뉴 선택
- 매장에 있는 QR코드 스캔 → 금액 입력 후 결제
은행/앱 | 제로페이 지원 여부 | 특징 |
---|---|---|
국민은행 KB스타뱅킹 | 지원 | QR결제 외에 상품권 구매도 가능 |
신한 쏠 | 지원 | 지역페이와 연계된 할인 제공 |
페이코, 티머니페이 등 | 지원 | 제로페이 + 마일리지/포인트 연동 |
3. 소비자 혜택 & 소득공제 정리
제로페이는 결제 자체도 편리하지만, 소비자 입장에서 가장 유용한 건 연말정산 소득공제 혜택입니다.
💸 혜택 요약
- 제로페이 결제금액의 30% 소득공제 (신용카드 대비 2배 이상)
- 지역상품권(제로페이 기반) 구매 시 추가 할인
- 공공서비스(주차장, 공영시설 등) 결제 시도 적용
📌 이런 분께 추천
- 신용카드 공제 한도 초과한 직장인
- 현금 결제를 자주 하는 분
- 지역 내 소비에 집중하는 분
📌 요약 정리
- 제로페이는 QR코드를 활용한 간편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입니다.
- 주요 은행앱 및 간편결제앱에서 이용 가능하며, 가맹점은 전국에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습니다.
- 소득공제 30%를 받을 수 있어, 연말정산에 유리합니다.
- 편의점·시장·관공서 등에서 실생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결제수단입니다.
- 공식 사이트에서 사용처·혜택 정보를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인인증서 폐지 후 공동인증서 발급법 – 어디서 어떻게 바뀌었나? (0) | 2025.06.27 |
---|---|
토스·카카오페이 증권 계좌 개설 방법 – 수수료 무료 조건 & 주의할 점 (0) | 2025.06.27 |
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신청자격과 소득기준 – 집주인 동의 없이도 가능할까? (0) | 2025.06.26 |
2025 하반기 전기요금 누진세 피하는 법 실제 절약 사례 포함 (0) | 2025.06.26 |
2025 하반기 전기요금 누진세 피하는 법 실제 절약 사례 포함 (0) | 2025.06.26 |